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oogleMaps
- 스프링부트
- array
- 오버라이딩
- TypeScript
- Javscript
- npm
- Kotlin
- stylesheet
- JavaScript
- nodejs
-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 RecyclerView
- 안드로이드
- React
- scrollview
- SpringBoot
- Java
- Hook
- button
- JS
- 구글맵스
- 랜덤넘버
- Android
- fragment
- 랜덤번호
- TextView
- 코틀린
- Linux
- Today
- Total
목록2023/06/01 (2)
타닥타닥 개발자의 일상
데이터의 출처는 세가지 종류가 있다. 1. 프로그램 그 자체 : 데이터가 소스 코드 자체에 적혀있는 경우 (status messages) 2. UI를 통해서 : 유저의 input이나 DOM으로 쓰여진 데이터(tasks in todo app) 3. 외부의 출처를 통해 : Web API 통해서 불러오는 데이터들 (recipe obejct) 이러한 데이터들은 collection of data 데이터의 집합이며 Data structure 자료 구조체를 가진다. 만약 데이터가 단순한 리스트에 대한 값이라면 👉 Arrays or Set 이 적절하다. 만약 데이터가 key,value 값이 필요하다면👉 Object or Map 이 적절하다. key는 vlaue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value에 추가적 설명이..

이전의 글을 통해서 Map이라는 자료 구조를 배워봤다. 그렇다면 Map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까? 아래 코드와 같이 question이라는 이름을 가지는 Map 형태의 자료 구조가 있다고 하자. const question = new Map([ ['question', 'What is the best programming language in the world?'], [1, 'C'], [2, 'Java'], [3, 'JavaScript'], ['correct', 3], [true, 'Correct 😜'], [false, 'Try again'], ]); 우리가 만들고 싶은 앱은 1. prompt창에서 "What is the best progamming language in the world?' 라는 질문이 뜨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