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ypeScript
- React
- GoogleMaps
- Linux
- SpringBoot
- Hook
- array
- Kotlin
- 구글맵스
- 리액트
- 자바스크립트
- Android
- 오버라이딩
- JS
- fragment
- JavaScript
- 안드로이드
- stylesheet
- 랜덤번호
- 코틀린
- 랜덤넘버
- scrollview
- button
- nodejs
- RecyclerView
- npm
- Java
- TextView
- Javscript
- 스프링부트
- Today
- Total
목록Linux (4)
타닥타닥 개발자의 일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UbYS/btsgBQg3CXx/VdBM3Ncio70AgZpCOgSOyk/img.png)
1.설치 dnf install podman -y adduser user3 echo 1111 | passwd --stdin user3 ssh user3@localhost -dnf 명령어로 podmad 설치 -컨테이너 사용할 유저 user3 생성 -user3의 비밀번호 1111으로 변경 -user3의 계정으로 접속 #user3으로 로그인한 상태 podman pull quay.io/centos7/httpd-24-centos7:latest podman run -d -p8080:8080 --name container-web quay.io/centos7/httpd-24-centos7:latest podman ps curl localhost:8080 -podman pull 명령어로 컨테이너 이미지 불러오기 *컨테이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60aF/btsgqCRAUBS/SK02b9UeW9tK9VhJ7OsewK/img.png)
리눅스 공부를 하면서 혼자 아래의 문제를 풀고 있었다. 사용자 user2의 파일을 찾아서 /tmp/user2-banned/에 저장한다. 저장된 파일은 xz으로 압축하여 user2-banned이름으로 /root/에 저장한다. 반드시 확장자는 올바르게 표기가 되어야 한다. 우선 user2의 파일을 찾아야 하니 find / -user user2 -type f -print 를 입력했고 아래와 같은 파일들이 검색됐다. /home/user2/.bash_logout /home/user2/.bash_profile /home/user2/.bashrc find: ‘/proc/7227/task/7227/fdinfo/6’: No such file or directory find: ‘/proc/7227/fdinfo/5’: No..
find로 파일을 검색하다보면 검색된 파일들의 목록만 txt로 저장해놓고 싶은 경우도 있고. 검색된 파일들을 실제로 복사해서 디렉토리에 따로 저장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해당 경우에는 find 명령문이 조금 달라서 구분하고 기억하고자 글을 작성한다. #출력 결과를 txt로 저장 find / -iname "*GNU*" -type f -print -exec cp -a {} /root/gnulist2.txt \; 위의 명령어는 1.대소문자 구분없이 "gnu"라는 문자열 가진 파일을 모든 디렉토리에서 찾은 다음, 2.출력결과를 /root/경로에 gnulist2.txt 라는 이름의 파일로 저장 하는 명령문이다. #검색된 파일들을 실제로 복사해서 지정한 디렉토리에 따로 저장 find / -iname "*licens..
chown :agroup /agrpdir 만약 리눅스 환경 내에, agroup과 bgroup이라는 두가지 그룹이 있고 특정한 경로인 agrpdir이 있다고 하자. 이 특정한 디렉토리인 agrpdir은 agroup만 쓰게 만들고 싶다. 그렇다면 bgroup을 제외한 agroup만 agrpdir를 쓰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흔히들 그룹에게 특정 디렉토리에 권한을 주는 명령어는 chmod 를 쓴다. 하지만 chmod g=rwx /agrpdir 로 그룹에게만 권한을 주려 하니, g= 가 가리키는 그룹이 특정한 "agroup"이라는 점이 나타나 있지 않다. chmod 070 /agrpdir 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표현해봤자 7이라는 권한이 있는 그룹의 자리가 agroup인지 bgroup인지 알수가 없다. 이때는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