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utton
- scrollview
- JavaScript
- Java
- 리액트
- fragment
- Javscript
- 구글맵스
- React
- 랜덤번호
- 코틀린
- RecyclerView
- npm
- nodejs
- 안드로이드
- stylesheet
- Kotlin
- 오버라이딩
- 스프링부트
- TypeScript
- array
- GoogleMaps
- 자바스크립트
- JS
- Android
- TextView
- Linux
- 랜덤넘버
- Hook
- SpringBoot
- Today
- Total
타닥타닥 개발자의 일상
REST vs RESTFUL 는 무엇인가? 둘의 미묘한 차이점 본문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와 RESTful은 웹 서비스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로, 서로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정의: REST는 자원(URI), 행위(HTTP 메서드), 표현(Representations)으로 구성된 아키텍처적인 스타일
- 특징:
1. 자원은 URI로 표현되며, 각 자원은 고유한 식별자를 보유
2. 행위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를 이용하여 수행.
3. 표현은 클라이언트가 자원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식.
RESTful:
- 정의: RESTful은 REST 아키텍처를 따르는 웹 서비스다. 즉, REST 원칙을 준수하여 구현된 웹 서비스를 RESTful이라고 한다.
- 특징:
1. REST의 원칙을 따르며, 자원, 행위, 표현을 활용합니다.
2. URI는 명사(자원)를 사용하고, HTTP 메서드는 동사(행위)를 나타냅니다.
3.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는 필요 없고, 요청이 완전히 독립적입니다.
REST와 RESTful의 차이:
REST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나타내는 개념이고, RESTful은 이를 실제로 구현한 웹 서비스를 의미.
RESTful은 REST 원칙을 따르지만, 엄격한 규칙을 따르지 않을 수도 있다.
- REST:
- 단순한 서비스나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때 간편하게 적용.
- 표준에 엄격하게 따를 필요가 없거나, 서비스의 요구사항이 RESTful을 엄격히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 사용.
- RESTful:
- 대규모의 복잡한 프로젝트나 기업 수준의 서비스에서 사용.
- 표준화된 URI 및 HTTP 메서드 사용으로 인해 간편하게 개발 및 유지보수가 가능.
- 자체적으로 규칙을 가지고 있어 개발자들 사이의 협업이 용이.
종합적으로, 간단한 서비스에서는 REST를 적용하여 빠르게 개발할 수 있고, 대규모이거나 표준화가 필요한 프로젝트에서는 RESTful을 적용하여 일관성 있고 효율적인 웹 서비스를 구현.
'코딩 기록 > 유용한 IT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라이드 VS 오버로드의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4.03.03 |
---|---|
클래스 vs 인터페이스 vs 추상 메서드 는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가? (0) | 2024.03.03 |
깃허브에서 간단하게 프론트 페이지 배포하는 방법 (0) | 2023.04.18 |
upsplash API를 Chat GPT에 적용하고 이미지 바로 Chat GPT 통해서 받기 (0) | 2023.04.18 |